서영진교수님
- 글번호
- 30510
- 작성일
- 2006.03.19 04:16
- 조회
- 1060
- 등록자
- 관리자
- 주소복사
- http://www.sunlin.ac.kr/ciuxwi@
응고 괴사 (Coagulative) : 응고된 세포 또는 조직의 기본 구조적 윤곽이 수일 보존. 손상 또는 호산구의 증가가 구조 단백질 뿐 아니라 효소단박질을 변성시켜 세포단백질 분해를 차단
응고괴사 과정은 허혈에 의한 세포사의 특징으로 뇌를 제외한 모든 조직에서 세포의 저산소성 사망의 특징이다. 심근경색증은 대표적 예로 호산성 응고된 무핵 세포가 수주동안 지속 괴사 심근세포가 분절화와 백혈구에 의한 식세포작용에 의해 제거
저산소증 : 세포손상을 유발하는 가증 흔하고 중요한 원인 중 하나
죽상경화증이나 혈전에 의해 혈액공급이 줄어드는 허혈은 저산소증의 가장흔한 원인.
부적당한 산소화나 또는 일산화탄소 중독때와 같은 산소 운반 능력의 부족도 저산소증의 원인
허혈 : 뇌를 예로 빈혈은 아닌데, 뇌로 가는 혈관이 동맥경화로 좁아졌다거나, 뇌로 가는 혈관이 일시적으로 수축하면서 뇌에 혈액공급이 안되는 상태
액화 괴사 (Liquefactive) : 강한 가수분해 효소의 작용으로 발생. 국소적인 세균감염이나 진균 감염이 특징(백혈구 축적에 대한 강력한 자극을 제공)
중추신경계(CNS) 내세포의 저산소성 사망은 액화괴사를 초래
액화는 완전하게 죽은 세포를 소화
응고괴사랑 액화괴사는 질퍽하지 않냐 질퍽하냐의 차이로 쉽게 구별할수 있고
응고는 대부분 괴사 이고 액화는 뇌조직에서만 특징적이다
댓글달기(2)(sns 포스팅시 120자까지만 허용됩니다.)
good
병욱이 멋진걸-_-ㅋㅋ